Article
Self-presentation Design Activities for Adolescents to Form Resilience and Non-Contact Online Platform Design : Before and After the COVID-19 Pandemic and Endemic
(This work is a Revised-Supplement of the Sangil Jeon’s Master Project Report at the Hongik University in 2021)
Design Works (KCI),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
Open source
https://drive.google.com/file/d/1_1vfHkeRsUwVRYCG_YNfWxZYWsc3mRN5/view?usp=drive_link
*Fix note(2025. 07. 20)
<The original>
이에 더해, 코로나 블루는 자아 존중감 저하로 인한 우울과 고립감을 가중시켰다.
<To be corrected as>
이에 더해, 코로나 블루는 우울과 고립감을 가중시킬 수 있다.
-
<The original>
2요인 중 하나만 충족하는 사람은 나머지 영역을 달성하지 못하면 자존감이 크게 낮아지는 불안정성을 보일 수 있다.
<To be corrected as>
2요인 중 하나만 충족하는 사람은 나머지 영역의 결핍을 인지하면 자존감이 크게 낮아지는 불안정성을 보일 수 있다.
-
<The original>
여기서 회복탄력성은 개인의 고정적 속성이 아닌 환경에 따라 역동적으로 변하는 후천적 요소로서 사회적 지지가 필요하다.
<To be corrected as>
여기서 회복탄력성은 개인의 고정적 속성이 아닌 환경에 따라 역동적으로 변하는 후천적 요소이며, 사회적 지지 역시 필요하다.
-
<The original>
혹독한 환경 속에서 성취를 이룬 개인들의 특성인 “GRIT”(그릿)을 후천적인 교육과 개인의 노력으로 형성한 개인은 당장 성취하지 못해도 장기적 성취를 이룰 가능성이 크다.
<To be corrected as>
혹독한 환경 속에서 성취를 이룬 개인들의 특성인 “GRIT”(그릿)을 후천적으로 형성한 개인은 당장 성취하지 못해도 장기적 성취를 이룰 가능성이 크다.
-
<The original>
자기 제시는 제시자가 의도한 인상 관리를 위해 정보, 외모, 행동 등을 선별하여 타인에게 제시하는 것으로
<To be corrected as>
자기 제시는 제시자가 특정한 인상 관리를 위해 정보, 외모, 행동 등을 선별하여 타인에게 제시하는 것으로
-
<The original>
자기 제시적 행동은 맥락(사적, 공적 환경) 속에서 개인의 정신 내적 동기, 사회적 동기를 통해 발생한다. 제시자는 청중의 반응(“사회적 경로”)과 자기 인지(“개인적 경로”)를 내면화하여 자아 정체성을 확립한다.
<To be corrected as>
자기 제시적 행동은 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으로서, 맥락(사적, 공적 환경)과 개인의 정신 내적 동기, 사회적 동기를 통해 발생한다. 제시자는 청중의 반응(“사회적 경로”)과 자기 인지(“개인적 경로”)를 통해 자기 개념과 자기 평가를 내면화한다.
-
<The original>
또, 자신의 삶이 풍요롭고 화려하다고 제시하기 위한 속물 성향(해시태그에 일상)의 고가 호텔 이미지를 소비하는 자기 과시
<To be corrected as>
또, 자신의 삶이 풍요롭고 화려하다고 제시하며(해시태그에 일상) 고가 호텔 이미지를 소비하는 자기 과시
-
<The original>
SEI는 개인, 학교, 또래, 가정의 검사에 도움을 주며 청소년에 유용하다.
<To be corrected as>
SEI는 개인, 학교, 또래, 가정에서의 자아 존중감 검사에 도움을 준다.
SEOUL, SOUTH KOREA